위험성 평가 개정 소식, 안전관리 앱 추천 🟪 오늘의 벤타 레터
- 위험성 평가 개편, 쉽고 간편하게 그리고 참여 강조
- 안전관리 앱 추천
- 3월 안전 뉴스
|
|
|
위험성 평가 개편,
쉽고 간편하게 그리고 근로자의 참여 강조 |
|
|
지난 3월 7일 , 고용노동부는 위험성 평가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편하는 내용의 고시 개정안을 행정 예고한다고 밝혔습니다. (💭행정 예고 : 정책, 제도, 계획 따위의 수립뿐만 아니라 이를 시행하기에 앞서 미리 알리는 일) 지난 벤타레터 12월호에서도 위험성 평가에 대해 다룬 적이 있었는데요.
✅위험성 평가란?
사업주가 스스로 유해 ·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 · 위험 요인의 위험성 수준을 결정하여,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말한다.
작년 11월 30일 발표된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서 영국, 독일 등 산업 안전 선진국과 같이 자기규율 예방 체계의 핵심인 위험성 평가를 중심으로 산업안전 정책과 제도를 전반적으로 정비하겠다고 했었습니다. 콕 집어서 '위험성 평가를 중요하게 보겠다.' 라는 내용이었는데, 과연 올해 어떤 내용이 바뀌었는지 확인해 볼까요? |
|
|
이렇게 바뀐대요!
1️⃣ 쉽고 간편한, 다양한 위험성 평가 방법 제시 |
|
|
기존에는
현재까지는 유해 위험 요인의 위험성을 가늠할 때 계량적으로 산출하여 판단
(사고 빈도 및 강도 확인 단계가 9단계-25단계) |
✅바뀐 점은
- 쉽고 간편한 점검표, 핵심 요인 분석, 위험 수준 3단계 분석법 등의 방법을 제시
|
|
|
기존에는
- 최초 평가 시기 : 사업장 설립일로부터 1년 이내 실시
- 정기 평가 : 최초 평가 후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 (1년마다 최초 평가에 준해 유해 위험 요인에 대한 정기 평가)
- 수시 평가 : 계획 실행을 착수하기 전 실시 (중대 산업사고 및 산업 재해 발생 시)
|
✅바뀐 점은
- 최초 평가 시기 : 사업장 성립 후 1개월 이내에 착수
- 정기 평가 : 앞서 평가 했던 실시 결과를 재검토도 인정
- 매월 1회 이상 위험성 평가 실시하고 주 단위로 보건관리자 및 도급 관리자가 결과 논의 및 공유
- 매 작업일마다 작업 전 점검회의 (TBM)실시하면 정기 평가 실시로 간주 (상시 평가 제도 신설)
|
|
|
기존에는
- 근로자의 참여가 유해 위험 요인 파악 등 일부 절차에만 참여
|
|
|
기존에는
- 잔류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근로자에게 알리도록 규정
|
✅바뀐 점은
- 위험성 평가 결과 전반을 근로자에게 알리고,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를 통해 근로자들이 항상 인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규정 신설
|
|
|
- 아차 사고 확인된 경우 위험성 평가 실시
- 5인 미만 (건설업의 경우 1억 원 미만) 사업장에 대해 사전 준비 절차 면제
- '안전보건정보 사전조사' 절차 의무 → 임의 규정으로 변경
|
|
|
기존과 다르게 간편해지고 (3단계 측정법 등), 근로자의 참여 비중이 높아진 것 같은데요.
🤔근로자 참여..? 어떻게 시키는 게 좋을까요?
개편된 위험성 평가에서 자주 보이는 단어 TBM (Tool Box Meeting). 작업 전 점검회의를 말하는데요. 개정될 위험성 평가에는 작업 전 점검 회의 (TBM)를 정기 평가 실시로 간주한다고 하니 매일 실시하는 TBM을 근로자 참여에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개정 소식을 접한 발 빠른 안전관리자들은 TBM 실시할 때, 근로자에게 미팅 때 공유했던 당일 작업에 대한 위험성과 안전 대책을 적게 한다거나 TBM일지에 근로자의 서명을 받는 등 TBM을 근로자 참여 수단으로 활용한다고 하네요!
🤔다른 사업장은 어떻게 TBM을 하나?
인사 → 근로자 개인 건강 상태 확인 (코로나, 음주 여부) → 작업 전 몸풀기 → 안전보호구 점검 → 전일 작업 중 위험 포인트 공유 → 일일 명상 → 주요 위반 사례 공유
→ 위험 포인트 구호 외치기
(핵심 내용은 5분 19초부터)
안전 조회 및 안전 체조 실시 → 안전 작업 지시 → TBM 위험예지활동 (영상에 인원별 시나리오가 있어요) → 교육실시 사실 확인 서류 작성 (교육일지, 출석부, 사진 등 )
🤔 TBM 방법은 알았는데 서류 양식 공유 좀..
건설현장 협력업체 작성용 안전일지와 TBM작성 일지가 각각 업로드 되어 있어요.
TBM 양식 뿐만아니라 '작업지시서', '개인 보호구 지급 대장' 등 다양한 관리 서식들이 공유되어 있어요. |
|
|
개정된 위험성 평가는 의견 수렴을 거쳐 올해 4월 중에 개정 시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아래 '안전 자료 찾아드립니다' 에 신청해 주세요. 4월 호에 더 알찬 내용으로 채워올게요:) |
|
|
바쁘시죠?🥲 법은 왜 이렇게 자주 바뀌고, 남겨둬야 할 서류는 왜 이리 많은지..
님의 일손을 덜어주고 싶은 마음을 담아 안전 관리 앱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
|
|
1🖐️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_ 안전보건공단
열일하는 안전보건공단에서 만든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입니다.
작업 전후 실시하는 단시간 보건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시스템이라고 하는데요.
강사가 (강사 권한으로 가입을 한 사람) 앱 메뉴에서 강의실을 생성하고
개설된 강의실에 교육에 활용할 보건공단 콘텐츠를 담습니다.
생성된 강의실 QR코드로 교육생들을 초대하면
교육생들은 강사가 만든 방에 입장,
강사가 보고 있는 화면(미리 담아놓은 콘텐츠)을 교육생의 모바일 기기에서도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좋은 점이, 교육생이 시청한 기록이 남게 되고, 교육생과 강사, 사업장 관리자는 '나의 교육 내역'에서 교육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이런 점이 좋아요👍
동영상 VR, 사진 VR 콘텐츠 등 양질의 안전보건공단 교육 자료들을 앱을 통해 손 쉽게 교육에 활용할 수 있어요. |
|
|
사진 출처 : 위기탈출 안전보건 앱 상세 매뉴얼에서 발췌 |
|
|
2🖐️ 안전지킴이 앱 _ LG유플러스
출시하는 스마트 상품마다 우리집 지킴이 홈캠, 보행자 지킴이 앱 등
지키는 데 진심인 LG유플러스에서 만든 앱 입니다.
작업(공사) 전 안전 체크리스트를 확인하고 수행 작업 및 관리 업무를 도와주는 앱이라고 하는데요.
작업명, 관리 감독자, 작업 유형, 작업 예정 일시, 작업자 등을 기록할 수 있고,
각 작업에 대한 체크리스트로 진행 작업에 대한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이런 점이 좋아요👍
체크리스트에 현장 사진도 등록을 할 수 있는데요. 아차 사고 예방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거나 안전 수칙에 맞게 작업을 했다는 증빙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겠네요.
|
|
|
앞서 소개드린 두 앱들은 무료로 앱 스토어에서 다운로드 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쁜 님의 일손을 덜어줄 효자 앱이었으면 좋겠네요.
앗, 그리고 앱은 아니지만 안전 교육에 효율적인 솔루션이 하나 더 있는데...
네. 맞아요. 조금 뻔뻔하게 소개를 해볼게요. 님도 익히 알고 계시는 VENTA CMS
이런 점이 좋아요👍
- 최대 100명을 동시에 VR로 안전교육 할 수 있어요.
- 실제 상황 같은 실사 VR 콘텐츠로 경각심을 높이는 교육을 할 수 있어요.
- 교육 관리 기능이 추가되어 교육생 이력 관리 및 교육 내용을 결과보고서(엑셀파일)로 다운 받을 수 있어요.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로 방문해주세요.
|
|
|
3월 안전 뉴스 (제목을 클릭하시면 출처 뉴스로 연결됩니다.) |
|
|
인천 타워크레인 인양물 조종석 덮쳐... 당일 바람요인 사고 예방 당부돼
인천 계양구의 한 아파트 공사현장서 타워크레인 인양물이 바람에 날려 타워크레인 조종석을 덮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당일 인천 계양엔 강한 바람으로 인한 시설물 안전과 사고 예방이 당부됐다. 고용노동부의 타워크레인 안전 작업 기준에 따르면 순간풍속이 초당 10m/s를 초과한다면 안전을 위해 크레인을 설치하거나 해체하는 등의 타워크레인 관련 작업을 중지해야 한다.
🔽안전 지침 및 매뉴얼
⚠️교육에 활용할 만한 콘텐츠
|
|
|
계절별로는 날씨가 따뜻해져 쌓인 눈이 녹아 공장과 축사의 지붕 개보수 작업이 집중되는 시기인 ‘봄’과 장마와 집중호우가 끝나고 건조해지는 ‘가을’에 주로 발생하고, 금액별로는 대부분 50억 원 미만 소규모 현장에서 발생했으며 지난해 50억 원 이상 현장에서는 지붕공사 사망사고가 없었다.
지붕공사 사망사고는 주로 축사 ·공장 ·창고 지붕의 보수 ·교체 등 소규모 , 초단기공사 (1~2일 )에서 발생하기에 , 사고예방을 위해서는 불시 감독 ·점검보다는 교육 ·지도를 통해 안전지식과 안전의식 제고를 유도함이 효과적이다 .
🔽 관련 뉴스
⚠️ 교육에 활용할 만한 콘텐츠
|
|
|
🟣2023 지속가능화학위크 안전보건산업전(2023세이퍼코리아) 후기 |
|
|
3/22~3/24 송도 컨벤시아에서 개최된 지속가능화학위크 안전보건산업전에 벤타브이알이 참가했습니다. 이번 전시도 VENTA CMS와 실사 VR 콘텐츠를 선보였습니다. '사고 나지 말아라🙏' 두 손 모아 보게 되는 현실 같고 몰입도 높은 벤타의 S3D 실사 VR 콘텐츠. 벤타는 세상의 모든 안타까운 안전 사고는 벤타의 영상 속에서만 볼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콘텐츠를 만듭니다 🎥🙏
특히 이번 전시는 제조 화학 분야의 안전관리자 분들이 많이 다녀가셨는데요. 시연 후에는 "콘텐츠가 정말 좋다","제조 화학 분야에도 콘텐츠가 더 많았으면 좋았을 텐데 아쉽다"는 말씀을 많이 남기셨네요! 그만큼 콘텐츠가 좋았다는 거겠죠? 주신 의견 반영하여 더 나은 서비스로 보답하겠습니다 :)
|
|
|
님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벌써 꽃 피는 3월이네요.🌸
꽃만 피면 좋으련만, 미세먼지도 부쩍 심해진 봄
평소보다 물 많이 드시고 건강 유의하시길 바라요.
4월 벤타레터 발행일은 4월 28일입니다. |
|
|
벤타브이알nrkim@ventavr.com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396 연구개발타워 1301호 02-2132-5554수신거부 Unsubscribe |
|
|
|
|